목록앱 (3)
황소개발자

몇가지만 체크하면된다. 시작한다. 0. res -> value -> string.xml 에서 위 코드와 같이 아이디를 설정해준다. 1. manifest 에 안에 위 코드를 넣어준다. 그리고 위에 인터넷 권한을 얻기위해 입력한다.. (이건 없어도 될 것 같긴하다) 혹시나 헷갈릴 사람이 있을까봐 manifiest 전체 코드는 아래와 같다. 2. 광고를 넣을 Activity 코틀린 클래스 안에 onCreate 함수안에 MobileAds.initialize(this) adView.loadAd(AdRequest.Builder().build()) 위와 같이 광고 초기화 코드를 입력한다. 3. 그리고 그 Activity와 연결된 layout에 위와 유사하게 넣어준다. 테스트를 할땐 테스트용 id를 쓰는게 좋다. 실제..

굳이 광고단위가 많아서 좋을 이유가 뭐 있을까 괜히 하나면 더 잘 노출된걸로 기록될 것같고 괜히 광고 출력속도도 빨라질거 같았다... . 하지만 생각해보니 광고 단위는 화면별로 나누는게 좋다. 그래야 어디 화면에서 노출이 더 많이 일어나고, 오래 머무는지, 광고 정확성이 떨어지진 않는지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. 아래는 애드몹한국의 답변이다. 해답을 얻으셨길 바란다~!

구글 사이트를 차분히 참조하시는게 제일 정석이고 빠릅니다. (세팅) https://developers.google.com/admob/android/quick-start?hl=ko (배너 광고 넣기) https://developers.google.com/admob/android/banner?hl=ko 최신버전으로 항상 업데이트 되기때문에, 공식 사이트를 참조하시는게 좋습니다. 그리고 다 따라했는데도, 시뮬레이션때는 보이다가 정작 출시하니 안보인다면, 배너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서일 확률이 높습니다. 320dp, 50dp를 확보해줘야되는데 시뮬레이션때는 보일지 몰라도, 실전 출시될때 화면 구성이 이상하게되면서; 좀더 서로 연결성있게 설계를 해서 반드시 나올 수 밖에 없는 공간에 배치해야합니다. 밑에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