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백준 문제 풀이 (154)
황소개발자
import sys import itertools input = sys.stdin.readline def gcd(a, b): return gcd(b, a % b) if b else a t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t): num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num_list = num_list[1:] ans = 0 for a, b in itertools.combinations(num_list, 2): ans += gcd(a, b) print(ans) gcd의 설명은 아래 글에! 백준 2609 파이썬 python :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@@황소처럼 우직하게@@ [유클리드 호제법 알고리즘][gcd][lcm] 이걸 아직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..
숏코딩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def gcd(a, b): return gcd(b, a % b) if b else a def lcm(a, b): return a * b // gcd(a, b) t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t):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lcm(a, b)) 설명은 아래 글 참고!! 백준 2609 파이썬 python :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@@황소처럼 우직하게@@ [유클리드 호제법 알고리즘][gcd][lcm] 이걸 아직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니.. 반성한다. 유클리드 호제법은 기원전 300년에 나온 첫번째 알고리즘으로 유명하다. a 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 이라고 했을 ..
이걸 아직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니.. 반성한다. 유클리드 호제법은 기원전 300년에 나온 첫번째 알고리즘으로 유명하다. a 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 이라고 했을 때,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이다. 다시말해서,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a%b의 최대공약수이다. 재귀가 느껴지는가? 반복이 느껴지는가? a%b 값이 0이 되었을 때, b 값이 최대공약수이다. 최소공배수는 어떻게 구할까? 최대 공약수를 G라고 했을 때, a = G * x b= G * y 이다. G가 최대공약수 그 자체이기에, x, y는 서로소이다. 하튼, a * b = G * G * x * y 이다. 그럼 최소공배수는 a * b / G 이다. 놀랍지 않은가? gcd = greatest common divisior : ..
이 문제는 정말 쉬우나 알고리즘은 중요하다. 나중에 "10007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세요" 라고 묻는 문제들이 종종보이는데 마지막에 모듈연산을 해줘야할 뿐 아니라 계산 과정중에서도 모듈연산을 해도 괜찮다는 증거의 알고리즘이기 때문이다. 그래서 결국 오버플로우를 막으면서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.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(a + b) % c) print((a % c + b % c) % c) print((a * b) % c) print(((a % c) * (b % c)) % c)
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mat = [] for i in range(n): mat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trip().split()))) import itertools gab = 999999999 team = [i for i in range(n)] tt = list(itertools.combinations(team, n // 2)) for team1 in tt: team2 = [x for x in team if x not in team1] team1_score = 0 team2_score = 0 for x, y in list(itertools.combinations(team1, 2)): team1_sc..
리스트에 리스트 합치는건 리스트 + 리스트로 해결이 되잖아요? 그래서 리스트 - 리스트 해봣었는데 안되더라구요 해결책은 아래와 같다. a_sub_b = [x for x in a if x not in b] a - b 를 구현한 코드입니다. a에서 원소를 뽑아내는데 b에 있지 않은 것만 통과시키는 것이죠.
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t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t): 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nfo = list(map(int, input().strip().split())) info = [[x, idx] for idx, x in enumerate(info)] ans = 0 while True: if info[0][0] == max(info)[0]: ans += 1 if info[0][1] == m: print(ans) break else: info = info[1:] else: info = info[1:] + info[:1] 옆에 인덱스 붙여서 이중리스트로 풀었다
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, s = map(int, input().split()) num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ans = 0 def subSet(idx, total): global ans if idx >= n: return total += num_list[idx] if total == s: ans += 1 subSet(idx + 1, total - num_list[idx]) subSet(idx + 1, total) subSet(0, 0) print(ans) jaimemin 님의 c++ 풀이를 참고하였다. 재귀로 풀었다. Solution 각 원소는 그 원소가 포함되었는지 안되었는지로 나뉘어진다. 길이가 0인 것이 ..